메뉴 검색
중랑구, AI 기반 빅데이터로 복지 사각지대 해소 나선다 면목본동 시범 적용 후 전 구 확대 계획 1인 가구·주거환경 등 다차원 분석…위기가구 조기 예측 GIS 기반 시각화로 현장 대응력 강화 김은미 2025-04-04 09:57:38

중랑구가 인공지능(AI)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본격 착수한다. 시범 적용 지역은 면목본동이며, 분석 결과는 향후 구 전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중랑구는 4월부터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고 밝혔다.

중랑구(구청장 류경기)는 4월부터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 주거환경 노후화 등 복지위험 요인이 다양해지는 상황에서 기존 행정만으로는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 비롯됐다.

 

구는 시범지역으로 인구가 많고 노령인구 비율이 높은 면목본동을 선정해, 지역 맞춤형 복지 분석을 우선 추진한다. 이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동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AI 기반 분석은 ▲성별·연령별 1인 가구 분포 ▲주택 노후도 ▲주거유형 등 다양한 지표를 활용한다. 특히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해 위험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학습하고, 복지 위기 가능성이 높은 가구를 조기에 예측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기존 행정 데이터로는 파악이 어려웠던 잠재적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공간 분석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시각화하고, 동 주민센터 복지담당자가 문제 지역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중랑구는 이번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면목본동 주민센터와 협력해 실무자의 현장 경험과 의견을 분석 과정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류경기 중랑구청장은 “AI 기반 데이터 분석은 복지 사각지대를 보다 정밀하게 식별하고,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데이터 기반 행정을 확대해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따뜻한 복지도시 중랑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사회·교육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