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봄철 산행 주의보… 최근 3년간 산악사고 3만 건 넘겨 최근 3년간 산악사고 31,330건 발생, 사망·부상자 6,673명 사고 절반이 주말에 집중, 3월에는 인명피해 비율 더욱 높아 소방청 “지정 등산로 이용하고 무리한 산행 자제” 당부 강재순 2025-02-24 13:57:38

소방청은 봄철을 맞아 등산객이 증가함에 따라 산악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3년간(2022~2024) 산악사고 구조활동 건수는 총 31,330건으로, 연평균 1만 건이 넘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325명이 사망하고 6,348명이 부상을 입었다.

 

소방청은 봄철을 맞아 등산객이 증가함에 따라 산악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요일별로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전체 사고의 49%가 집중됐으며, 인명피해 역시 54.1%가 주말에 발생했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9시 이후 사고가 증가하기 시작해, 등산객이 가장 많은 11시부터 15시 사이에 가장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처리건수 대비 인명피해 비율을 분석한 결과 3월과 10월이 다른 기간보다 높았다. 봄꽃과 단풍 등 자연경관을 즐기려는 등산객이 늘어나면서, 평소 산행을 하지 않던 사람들이 무리하게 산을 오르거나 충분한 준비 없이 등산에 나서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3월에는 얼었던 지반이 녹으면서 약해져 낙석, 추락, 미끄러짐 등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실제로 지난 19일 경남 창원시 정병산에서 60대 등산객이 독수리바위 아래로 추락해 소방헬기로 구조됐으나 결국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소방청은 산악사고 예방을 위해 △지정된 등산로 이용 △낙엽·돌 위를 피하고 절벽·협곡에서는 낙석 주의 △등산화 및 아이젠 등 안전장비 착용 △보온용품 지참 △최소 2명 이상 동행 △산악위치표지판 및 국가지점번호 확인 등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강조했다.

 

김재운 소방청 구조과장은 “등산 전 자신의 건강 상태를 반드시 확인하고, 무리한 산행은 피해야 한다”며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119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사회·교육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