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계
-
한국몰렉스, ‘일하기 좋은 기업 대상’ 9년 연속 수상
전자 커넥터 분야의 세계적인 기업인 한국몰렉스(대표 이재훈)가 한국경제매거진이 주최한 제12회 ‘2018 일하기 좋은 기업 대상’을 9회 연속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07년에 처음 제정되어 올해로 12회째 이어지는 ‘일하기 좋은 기업 대상’은 한국경제매거진이 주최하고 한경비지니스, 한국경영평가원이 주관하며 산업통상자원...
-
아부다비, 여섯 개 구역에서 역사적인 석유 및 가스 라이선싱 기회 부여
아부다비국영석유공사(ADNOC)가 아부다비 최초의 구역 라이선싱 전략의 일환으로 최고석유위원회를 대신해 1차로 입찰에 부치기로 한 6곳의 석유가스 구역에 관한 세부사항을 10일 발표했다. 이는 아부다비가 처음으로 탐사 및 생산 경쟁입찰을 시작할 것이라는 아랍에미리트 국무성 장관이자 아부다비국영석유공사 그룹의 최고경영자...
-
실수요자의 청약 당첨 기회 확대를 위한 주택청약 특별공급제도 개선
국토교통부는 실수요자의 청약 당첨 기회를 확대하고, 공정한 청약 제도 운영을 위하여 ‘주택청약 특별공급 및 전매제한 제도’를 개선한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8.2,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및 ‘주거복지 로드맵’ 등을 통하여 실수요자 중심으로 청약제도를 개선하여 운영 중이다. 그 결과 서울지역 청약 당첨자 중 무주...
-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최대 2억원 저리융자 5월 개시
서울시가 한국주택금융공사(이하 HF공사), KB국민은행과 함께 신혼부부에게 전·월세보증금의 최대 2억원(최대 90% 이내), 최장 6년 간 저리로 융자해주는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시중보다 약 1.5%p 저렴하게 융자해 줄 계획이다. 5월 중 시행한다. 이들 기관은 서울시와 금융기관이 협력해 신혼부부에게 저리 융자라는 직접적 혜택을 제공해...
-
FTA 원산지관리시스템 사용, 훨씬 간편해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중소기업이 자유무역협정활용을 전자적으로 보다 쉽게 이용하기 위해서 현재 한국무역정보통신이 운영중인 자유무역협정 전자 원산지관리시스템기능을 대폭 개선해 오는 4월 9일부터 신규 시스템을 본격 보급·운영한다. 이번에 새로 개편된 ‘FTA KOREA’는 기존 시스템의 많은 정보 입력과 복잡한 절차 등 사용상 ...
-
도시재생 현장의 낡고 오래된 주택, 상담부터 시작하세요
지난 3월 27일에 발표한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 후속으로 자율주택정비사업 통합지원센터가 개소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0일 한국감정원 본사에서 자율주택정비사업 통합지원센터 개소식을 갖고, 본격적으로 도시재생 뉴딜 주거재생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자율주택정비사업은 2∼3명의 집주인이 뜻을 모아 노후주택을 허...
-
지방교부세·지방교육재정교부금 정산금 6조원 추가 교부
정부는 2017년도 회계연도 결산 결과 확정된 일반회계 세계잉여금 10.0조원에 대하여, 행정안전부와 교육부에서 요청한 자치단체별 배분계획에 따라, 4.6, 지방교부세 정산금 3.1조원과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정산금 2.9조원을 추가로 교부했다. 교부세의 정산은 2017년도 일반회계 세계잉여금을 국가재정법에 따라 지방교부세와 지방교육재정...
-
4월 과학기술인상, 서울대학교 선정윤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4월 수상자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선정윤 교수를 선정했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한국연구재단(이하 ‘연구재단’)은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선정윤 교수가 전자 대신 이온을 전도체로 사용하는 하이드로젤을 개발하고, 투명성과 신축성이 높은 터치패널 제작 기술을 확보...
-
청년·신혼부부에 시세 70∼85%로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공급
정부의 국정과제에 따라 연 4만 호씩 공급하는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은 무주택자에게 우선 공급하되, 임대료를 일반공급 대상자는 시세의 90~95%, 청년·신혼부부 등 주거지원 대상자는 시세의 70~85%로 차등 적용한다. 또한 촉진지구 지정과 지구계획을 통합심의위원회에서 일괄 심의할 수 있는 지역이 상업지역·공업지역까지 확대...
-
광역도로건설사업 안전관리 강화 나서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은 광역도로 6개 현장의 건설재해 최소화를 위한 ‘2018년 맞춤형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해 시행 중이라고 지난 1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건설현장의 특성 및 현장여건에 맞게 중점 관리대상 공종을 선정하고 자체 현장점검 실시, 분기별 안전관리 교육 실시, 현장 원격 계측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