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계
-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대상지 넓혀 공급물량 확대
역세권 청년주택을 지을 수 있는 ‘역세권’의 범위가 현재 역 주변 반경 250m에서 350m로 확대돼 사업대상지(가용지)가 지금보다 약 3㎢(9.61㎢ → 12.64㎢) 넓어진다.서울시는 ‘역세권 청년주택’ 건립 가능 지역 범위를 넓혀 공급물량을 확대하기 위해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10월 4일 ...
-
시흥시 도일시장 일원, 맞춤형 정비사업으로 재탄생
경기도 시흥시 도일시장일원에 시작된 CCTV 설치, 마을회관·경로당 조성, 마을정비 등 맞춤형 정비사업이 완료됐다.경기도와 시흥시는 28일 오후 시흥 거모동 도일시장에서 ‘도일, 그 새로운 이야기의 시작’이란 부제의 맞춤형 정비사업 준공식을 개최했다.경기도 맞춤형 정비사업은 뉴타운 해제지역 등 주거환경이 열악한 낙후...
-
서울시, 하반기 전기·수소차 1,740대 추가보급…27일부터 보조금 접수
서울시는 2018년 추경예산 확정에 따라 179억원을 투입, 민간에 친환경차를 추가 보급한다고 밝혔다.서울시는 지난 2017년 9월24일 서울 전기차 시대 선언'이후 친환경차 보급사업에 박차를 가해 나간 결과 2018년말 전기차 1만대 이상이 보급이 확실시 되고 있으며, 오는 2022년까지 전기차 8만대 이상을 보급할 계획이다.전기차는 9월 현재 총 9,1...
-
국토부, 수도권에 330만㎡이상 규모 신도시 4~5곳 조성
정부가 수도권 주택공급 물량을 확대하기 위해 330만㎡(100만 평) 이상 규모의 신도시 4~5곳을 추가로 조성한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21일 이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그 동안 지속적인 주택공급으로 주택보급률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나, 수도권은 전국 대비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
-
공공주택 3만 5,000호, 서울·경기·인천 17개 지역에 공급
서울시 송파구 가락동 구 성동구치소 자리와 강남구 개포동 재건마을과 경기도 광명시, 의왕시, 시흥시, 의정부시 등 17곳에 3만 5,000호의 임대주택이 공급된다.국토교통부는 21일 서울 11곳(약 1만호), 경기 5곳(1만 7,160호), 인천 1곳(7,800호) 등 1차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이 중 서울은 2개 지역만 공개됐는데, 성동구...
-
중기부, 상생결제 이용 의무화 21일 시행
어음대체 수단인 상생결제 이용 의무화가 21일(금)부터 본격 시행된다. 상생결제로 납품대금을 지급받은 기업은 자신의 협력업체에게도 상생결제나 현금으로 결제해야 한다. 결제비중은 지급 받은 대금 중 상생결제가 차지하는 비율 이상이어야 한다. 1차 협력사가 상생결제를 받은 만큼 후순위 협력업체에게도 같은 비율 이상으로 내림으...
-
2018년 10월∼2018년 12월 전국 아파트 128,034세대 입주 예정
국토교통부 에 따르면, 2018.10월부터 2018.12월까지(3개월간) 전국 입주예정아파트는 전년동기(11.6만세대) 대비 10.7% 증가한 128,034세대 로 집계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63,838세대(전년동기 대비 8.6% 증가), 지방 64,196세대(전년동기 대비 12.8% 증가)가 각각 입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 입주물량을 보면, 수도권은 2018.10월 인천송도(2,708세...
-
세종시에 120억 원 규모의 스마트워터시티 조성
오는 2020년,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융합해 수돗물 공급 전 과정을 과학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워터시티'가 세종시에 들어선다.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는 환경부, 세종시와 함께 '세종시 스마트워터시티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총사업비 120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20년까지 세종시 행복도시 건설지역...
-
금소원 “부동산대책 이대론 안된다… 획기적 대안제시 있어야”
금융소비자원(이하 금소원)은 지난주 정부의 부동산 대책은현재 과열된 부동산 시장에 단기적 효과를 있을지 몰라도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지속가능성이 없다고 보기 때문에 앞으로는 세금과 대출규제의 방식만이 아닌 공급과 인프라 측면의 획기적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음은 금소원이 발표한 전문이다. 이번 대책도 과...
-
종부세 인상·투기수요 차단·주택공급 확산...주택시장 안정방안
서울시와 세종시, 부산시 등 조정대상지역의 다주택 소유자에게 최고 3.2%의 종부세를 부과하고 18억 원이 넘는 고가 주택의 세율도 누진적으로 인상하고, 실수요자를 위한 주택공급을 확대한다.정부는 1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로 긴급 경제현안간담회를 개최해 ‘9·13 주택시장 안정방안&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