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지자체
-
숙소 체험기 모은 ‘여행자의 방’ 출간…품질인증 숙박업소 소개
한국관광공사는 ‘한국관광 품질인증’을 받은 믿을 만한 국내 숙소 정보를 수록한 ‘여행자의 방’을 출간했다.여행객들에게 ‘숙소’는 여행목적지만큼이나 중요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여행가이드북이 주로 관광지 중심이었다면 ‘여행자의 방’은 여행 작가들이 2년간 방문한 전국 각지의 한국관광 품질인증...
-
‘풋고추 · 멜론 · 닭안심’으로 만드는 휴가철 이색 요리
농촌진흥청은 매달 ‘이달의 식재료’를 선정하고 올바른 농식품 정보와 이를 활용해 소비자들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조리법을 소개하고 있다. 8월에는 제철 식재료인 풋고추, 멜론, 닭안심을 이용해 만든 휴가철 이색 요리와 집에서 휴가를 즐기는 홈캉스 족을 위한 여름용 반찬들을 소개한다.풋고추는 껍질째 먹는 대표적인 과...
-
영화 ‘롱 리브 더 킹: 목포 영웅’, 7월 4주 VOD 1위 유지
조직 보스들의 갈등과 대결을 다룬 이야기가 케이블TV VOD 시장에서 꾸준히 인기다.㈜홈초이스는 CJ헬로, 티브로드, 딜라이브, CMB, 현대 HCN 등 전국 14개 케이블TV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한 ‘7월 4주차 영화 및 방송 VOD’ 순위를 발표했다. 영화 VOD 순위에서는 조직 보스로 분한 김래원과 마동석의 인기에 힘입은 ‘롱 리브 더 킹:...
-
반구대 암각화 일대, 495종 생물 서식 확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국보 제285호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일대를 대상으로 동물상을 조사한 결과, 495종의 동물이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이번 조사는 세계유산으로서 울주 반구대 암각화의 가치를 높이고자 기획한 것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국립중앙과학관과 협업하여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천연기념...
-
국립중앙과학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 탄생 150주년 기념 행사 진행
국립중앙과학관은 2019 유네스코 지정 국제주기율표의 해 기념 특별전 ‘멘델레예프 원소를 말하다’를 오는 30일부터 10월 27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올해는 멘델레예프가 주기율표를 만들어 발표한지 150주년이 되는 해이다. 유네스코는 이를 기념하여 2019년을 국제주기율표의 해로 지정했다. 국립중앙과학관은 한국화학연구원, 중...
-
“약해진 여름철 건강, 인삼이 책임진다!”
농촌진흥청은 더위로 입맛과 기력이 떨어지는 여름철, 인삼과 약초를 이용해 가정에서 손쉽게 ‘청’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했다. 인삼과 약초에 설탕이나 꿀, 올리고당을 넣어 청으로 만들면 인삼 특유의 쓴맛이 줄고, 복분자와 오미자처럼 수확 기간이나 유통기한이 짧은 약초도 오래 두고 즐길 수 있다.청을 만들 때는 효능을 보고 ...
-
국가무형문화재, 여름휴가지에서 만난다
국가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이 지원하는 국가무형문화재 8월 공개행사가 전국 각지에서 펼쳐진다.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국가무형문화재의 대중화와 전승 활성화를 위해 매년 종목별로 개최하고 있다. 8월에는 총 7종목의 공개행사가 예정되어 있어 여름방학과 휴가를 즐기는 이들에게 매주 다채로...
-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 객실 선착순 예약하세요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에서는 알뜰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분들에게 국립자연휴양림 잔여 객실을 선착순으로 예약해볼 것을 제안한다고 26일 밝혔다.휴양림별 예약 가능한 시설은 ‘숲나들e을 살펴보면, 1일 평균 객실 3.3실, 야영시설 8.2실이 예약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국립자연휴양림은 다른 숙박시설에 비해 금액이 저...
-
문화재연구소, 고분벽화 집대성한 책 ‘남한의 고분벽화’ 발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는 고구려 고분벽화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남한의 10개 고분에 그려진 벽화들을 소개하고 그 내용을 연구한 자료를 모아 ‘남한의 고분벽화’단행본을 발간했다. 고구려 벽화고분은 북한과 중국 집안지역에 걸쳐 다양하게 발견되었으며, 지금...
-
장수 동촌리 위치 고분, 사적 지정 된다
문화재청은 전라북도 장수군에 있는 장수 동촌리 고분군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 예고했다. ‘장수 동촌리 고분군’은 장수군 장수읍 마봉산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와 능선을 따라 지름 20~30m 내외의 중대형 고총을 포함한 83기가 분포한 고분군이다. 유구와 유물의 특성을 근거로 5세기 초엽부터 6세기 초엽에 걸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