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
중기부, 930개 기업 수출바우처 지원…국제운송 경비 지원 가능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내수·수출중소기업의 성장과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31일부터 6월 18일까지 ‘2021년 수출바우처사업’ 2차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7년부터 추진해 온 수출바우처사업은 내수·수출중소기업이 규모와 역량에 맞는 맞춤형 해외마케팅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
중기부, 강원 규제자유특구 `패치형 심전계` 유럽인증 획득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강원도는 강원 디지털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에서 심전도 원격모니터링 실증에 참여한 벤처기업 메쥬의 `패치형 심전계`가 25일 유럽 CE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패치형 심전계, 메쥬 `하이카디` (사진=중소벤처기업부)메쥬가 개발한 패치형 심전계는 가슴에 부착 시 스마트폰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
공정위, SK하이닉스 인텔 낸드플래시·SSD 영업양수 승인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27일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플래시 및 SSD 영업양수건에 대해 승인했다고 밝혔다. AMD의 자일링스 합병건도 함께 승인됐다.SK하이닉스의 인텔 영업양수 건 메모리 및 저장장치 (자료=공정거래위원회)SK하이닉스는 지난해 10월 인텔의 낸드플래시 메모리 및 SSD 사업부문을 약 10조원에 양수하는 계약을 체결, 올해...
-
국토부, 현대·BMW·벤츠 등 71만대 리콜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한국지엠,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한국토요타자동차, 비엠더블유코리아, 스포츠모터사이클코리아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총 22개 차종 71만 4720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리콜)한다고 밝혔다.리콜 대상 자동차 시계방향으로 현대 `제네시스/G80(DH)`, ...
-
중기부, `컴업 2021 조직위` 출범…위원장에 안성우 직방 대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26일 서울 강남구 소재의 드림플러스에서 `컴업(COMEUP) 2021 조직위원회 출범식(이하 조직위)`을 개최하고 오는 11월에 개최될 컴업 행사의 본격적인 준비와 성공적인 개최를 다짐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밝혔다. 26일 `컴업(COMEUP) 2021 조직위원회 출범식`에서 안성우 직방 대표가 권칠승 중기부 장관으로부터
-
식약처, 국내산 빵·과자·음료류 `EU 시장` 진출 길 뚫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가공 우유‧계란‧벌꿀이 함유된 `복합식품`을 지난 20일부터 유럽연합(EU) 27개국에 정식 수출하게 됐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복합식품`을 지난 20일부터 유럽연합(EU) 27개국에 정식 수출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복합식품은 식물성 재료에 EU승인 국가의 우유, 계란, 벌꿀 등 동물성 가공제...
-
중기부, 중소기업 스마트서비스 11개 과제 5억원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중소기업 서비스 분야의 혁신을 도울 `스마트서비스 정보통신기술(ICT) 솔루션 개발사업`의 하반기 지원과제를 26일부터 6월 25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중소기업의 서비스 분야 생산성 제고와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새로운 고객과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증
-
중기부 선정 지역가치 창업가 ‘제주맥주’, 첫 코스닥 입성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26일 지역가치 창업가로 선정된 `제주맥주`가 코스닥에 상장해 지역가치 창업가 중 최초의 상장기업이 탄생했다고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 지역가치 창업가로 선정된 `제주맥주`가 코스닥에 상장했다.`지역가치 창업가(로컬크리에이터)`는 지역의 자연과 문화 특성을 소재로 혁신적인 아이디어 또는 기...
-
중기부·행안부, 국민 재도전 응원 ‘2021 실패박람회’ 개최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의 회복과 재도전을 응원하고 지원하기 위한 `2021 실패박람회`가 본격 추진된다. 2021년 실패박람회 선포식 및 국민 서포터즈 발대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있다. 왼쪽부터 국민서포터즈, 김제남 청와대 시민사회수석, 전해철 행안부 장관, 권칠승 중기부장관, 권선필 실패박람회 민간기획단
-
고용부, 밀린 임금 `체당금`에 출산휴가급여 포함…체불근로자 구제 강화
임금체불근로자에게 정부가 미리 지급하는 체당금이 수급계좌로 이체되지 않을 경우 현금지급이 가능해진다. 또한 체당금 지급범위도 출산전후 휴가기간 중 급여까지 확대돼 체불근로자에 대한 구제가 강화될 전망이다. 고용노동부는 25일 임금채권보장법 시행령개정안이 국무회의 심의 · 의결됐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이하 고용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