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금융
-
한은, 기준금리 0.25%p 올려 연 1.50%로 상향 조정
한국은행이 14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려 연 1.50%로 상향 조정했다. 한은 총재의 부재라는 사상 초유의 상황에서 동결 가능성도 있었지만 한은은 기준금리 인상이라는 선제적 대응을 선택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을 이끈 가장 주요한 요인은 단연 높은 물가상승률이다. 통계청의...
-
카카오, 금융위 본허가 얻어내 손해보험업 진출
카카오의 금융업 외연 확장이 거침없이 진행되고 있다. 카카오톡 플랫폼을 기반으로 카카오뱅크가 돌풍을 몰고 오더니 이젠 손해보험업계에 한차례 강풍을 몰고 올 태세다. 금융위원회가 13일 카카오손해보험(가칭)의 보험업 진출을 공식 허가했다. 금융위는 이날 열린 정례회의에서 카카오손해보험이 자본금 요건, 사업계획 타당...
-
지난해 보험사기 가담한 20대 크게 늘어
보험사기에 가담한 20대가 크게 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 인원이 9만7629명, 적발 금액은 9434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적발 연령대는 50대가 2만2488명으로 가장 많지만 50대 비중은 2019년 25.9%에서 지난해 23.0%로 낮아졌다. 눈에 띄는 건 20대가 같은 기간 33.3% 늘어난 1만3881명이 적발돼 비중이 2019년 15.0%에...
-
지난해 가계 지출 중 소비 크게 늘고 주식투자에 집중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비가 늘어나고, 빚을 내 주식투자하는 가계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1년 자금순환(잠정)’에 따르면 작년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여윳돈을 나타내는 순자금 운용 규모는 141조2000억원으로 전년(189조9000억원)보다 48조790억원이 감소했다. 순자금 운용은 예금, 보험, 주식 투자...
-
지난해 보험사 대출채권 266조원 규모
지난해 보험사 대출채권 잔액(총여신)은 266조1000억 원으로 2020년 말보다 13조1000억 원(5.2%) 증가했다.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1년 12월 말 보험회사 대출채권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사 대출채권 잔액은 266조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 12월과 비교하면 13조1000억 원 늘어났다. 전체 대출 가운데 가계대출은 128조5000억
-
시중은행 대출수요 늘리기 위해 대출금리 낮춰
문재인 정부의 정권말기 금융권 대출 규제가 느슨해진 틈을 타 시중은행들이 대출 수요를 늘리기 위해 대출 금리를 낮추고 있다. 4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오는 5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최대 0.55%포인트 내린다. 이 은행은 당초 지난달 7일부터 오는 6일까지 한시적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
-
정부 바뀌는 어수선한 시기에 한은 총재 공백 사태 빚어져
정부가 바뀌면서 대통령 인사권이 신, 구권력 간 갈등으로 순탄하게 행사되지 못하면서 사상 초유의 한국은행 총재 공백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청와대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묘한 난기류 속에서 후임 한은 총재 임명이 지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이주열 전 총재의 임기가 지난달 31일로 끝나면서 우려했던
-
싱가포르․홍콩 금융기관 유치~외투기업 정착지원까지
서울에 대한 투자유치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고, 서울에 진출을 원하는 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는 ‘서울투자청’이 외국인 투자기업의 든든한 조력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서울투자청’에서 운영 중인 ‘FDI 올인원 패키지’는 법인 설립부터 정착지원까지 모두 지원하는 서비스다. 서비스 도입 한달 만에...
-
“부정 입사자 채용 취소하고 피해자 구제하라”
KB금융그룹 노동조합협의회 회원들은 25일 서울 영등포구 KB국민은행 본관 앞에서 ‘채용비리 피해자 구제 촉구 및 대법원 판결 무시 KB금융 규탄 기자회견’을 가졌다. KB금융그룹 노동조합협의회 회원들은 25일 서울 영등포구 KB국민은행 본관 앞에서 `채용비리 피해자 구제 촉구 및 대법원 판결 무시 KB금융 규탄 기자회견`을 가졌...
-
2023년부터 4년간 서울시 자금을 관리할 금고 은행 지정 추진
서울시는 현 시금고 은행의 약정기간이 올해 12월 31일로 만료됨에 따라 공개경쟁 방식에 의한 차기 시금고 지정계획을 시보 및 홈페이지를 통해 3월 3일(목) 공고한다고 밝혔다. 서울시, 2023년부터 4년간 서울시 자금을 관리할 공개경쟁 방식에 의한 차기 시금고 지정계획을 시보 및 홈페이지를 통해 3월 3일(목) 공고한다고 밝혔다.차기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