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수도권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 10명 중 7명이 “일자리가 있다면 지방으로 내려가 살겠다”고 답했다. 건강, 여유, 비용 절감 등 삶의 질 요인이 주요 배경으로 꼽히며, 베이비부머 세대의 ‘제2의 인생 터전’이 수도권을 벗어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서울·경기·인천에 거주하는 1955~1974년생 베이비부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73%가 비수도권 중소기업에 취업 기회가 주어진다면 귀촌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남성의 귀촌 의향은 79.9%로 여성보다 높았다.
귀촌 이유로는 △건강한 생활 유지(24.6%) △여유로운 생활·휴식(22.9%) △자연친화적 환경(20.7%) △주거·생활비 절감(15.6%) 등이 꼽혔다. 반면 귀촌을 주저하는 이유로는 △의료·교육·문화 인프라 부족(27.8%) △도시 생활 익숙함(17.0%) △교통 불편(15.2%) △안정적 일자리 부족(11.1%)이 지적됐다.
귀촌 희망 지역으로는 △충청권(32.9%) △강원권(27.4%) △호남권(15.9%) △영남권(10.4%) 순이었다. 희망 직무는 관리·사무직(30.7%), 서비스·판매직(20.7%), 농림어업(15.9%), 생산·제조직(14.8%) 등으로, 근무형태는 시간제(47.7%) 선호가 가장 높았다. 희망 임금은 월 평균 227만원 수준이었다.
한경협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베이비부머 지역경제 붐업(Boom Up)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핵심은 수도권 은퇴세대와 지역 중소기업, 지방도시가 함께 성장하는 ‘3자 상생 구조(베이비부머-지역중소도시-중소기업)’ 구축이다.
수도권 베이비부머들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과제로 △임대주택 등 안정적 주거 제공(22.6%) △지역 일자리 확충(18.6%) △의료·복지 서비스 강화(12.0%) △정착 자금 지원(12.0%) 등을 꼽았다. 전문가들은 “단순 귀촌을 넘어 일자리 중심의 실질적 ‘지역 재정착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