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18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
  • 오정민 기자
  • 등록 2018-04-30 13:36:47

기사수정
  • 착공은 0.5% 감소, 준공은 19.4% 증가

행위유형별 건축허가 연면적 변화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8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보다 3.0% 증가한 39,927천㎡, 동수는 4.3% 증가한 62,155동이라고 밝혔다.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18,636천㎡, 지방 21,291천㎡ 이다.

착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한 28,655천㎡, 동수는 0.2% 감소한 47,068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3,994천㎡, 지방 14,660천㎡이며 준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한 38,803천㎡, 동수는 0.8% 감소한 45,418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7,322천㎡, 지방 21,480천㎡이다.

전년 동기 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면적은 건축 허가면적은 상업용 11,052천㎡, 문교사회용 2,358천㎡로서 각각 4.3%, 15.2% 증가했고, 주거용 14,108천㎡, 공업용 3,518천㎡로서 각각 11.9%, 1.0% 감소했다.

착공면적은 주거용 10,219천㎡, 상업용 7,799천㎡, 공업용 2,609천㎡, 문교사회용 1,535천㎡로서, 각각 9.5%, 2.4%, 31.4%, 21.0% 감소했다.

또한 준공면적은 주거용 17,790천㎡, 문교사회용 2,067천㎡로서, 각각 35.8%, 8.8% 증가했고, 상업용 8,056천㎡, 공업용 4,298천㎡로서, 각각 8.8%, 5.2% 감소했다.

2018년 1분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년 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준공 면적은 증가하였으나, 허가, 착공 면적은 감소했다.

허가 면적의 경우 수도권 증가, 지방 감소하였으나, 준공 면적은 수도권 및 지방 모두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 면적은 증가하였으나, 착공, 준공 면적은 감소했으며 세부 용도별로 살펴보면 건축허가는 업무시설 증가율이 높았으며, 착공은 기타, 준공은 판매시설 감소율이 높았다.

전년 동기 대비 아파트 건축물의 착공, 준공 면적은 증가하였으나, 허가 면적은 감소했다.

지역별 허가면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서울특별시는 감소하였으나 인천광역시, 경기도는 증가하였으며, 지방의 경우 대전광역시는 증가하였으나 광주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는 감소했다.

주요 건축물의 허가사항을 보면, 수도권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 수원대유평지구2-2블럭,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태리 김포신곡6지구지구 A1BL블록 공동주택이며,

지방은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 519-3번지 삼계두곡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직동 628번지 청주 사모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아파트 등으로 나타났다.

규모별 변동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25,483동으로 전체의 41.0%, 100~200㎡ 건축물이 12,033동, 300~500㎡ 건축물이 8,892동이고

착공은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19,756동으로 전체의 42.0%, 100~200㎡ 건축물이 8,696동, 300~500㎡ 건축물이 6,851동이며, 준공은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17,656동으로 전체의 38.9%, 100~200㎡ 건축물이 8,607동, 300~500㎡ 건축물이 6,548동이다.

소유 주체별 건축 허가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3.6%인 17,413천㎡, 개인이 13,651천㎡, 공공이 1,902천㎡이고, 착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4.8%인 15,689천㎡, 개인이 9,978천㎡, 공공이 1,863천㎡이며, 준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28.2%인 10,931천㎡, 개인이 8,897천㎡, 공공이 1,047천㎡이다.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1,578천㎡, 963천㎡, 229천㎡, 148천㎡ 멸실됐다.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49.9%인 787천㎡, 아파트 352천㎡, 다가구주택 245천㎡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38.4%인 370천㎡,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290천㎡, 업무시설 77천㎡으로 멸실됐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유니세프
하단배너_06 코리아넷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기후위기 대응 위한 법적 투쟁…“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졸속 결정 중단하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법적‧시민운동이 본격화되고 있다.  `탄소중립기본법 개정운동본부`는 8월 14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졸속 결정을 막기 위한 가처분 신청을 제출했다.‘탄소중립기본법 개정운동본부’는 8월 14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
  2. 광명시, 돌봄통합추진위원회 출범…민·관 협력으로 `돌봄통합도시` 향해 광명시(시장 박승원)가 초고령 사회 대응과 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지역 중심 통합지원체계 구축에 속도를 낸다. 광명시는 8일 시청 컨퍼런스룸에서 `광명시 돌봄통합추진위원회 위촉식 및 제1차 회의`를 열고, 2026년 3월 시행 예정인 `돌봄통합지원법`에 대비한 지역 중심 통합지원체계 구축에 착수했다.시는 8일 시청 컨퍼런스룸
  3. 코로나19 입원환자 4주 만에 2배 증가…질병청, 고위험군에 예방수칙 준수 당부 질병관리청은 최근 4주간 병원급 의료기관의 코로나19 입원환자가 약 2배 증가했다며,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과 요양병원·요양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에서 감염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8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최근 4주간 병원급 의료기관의 코로나19 입원환자가 약 2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31주차(7월 27일~8월 2
  4. 광주시교육청, 늘봄지원연구사 중간성과보고회 개최 광주시교육청(교육감 이정선)은 14일 남구 지역 한 컨벤션센터에서 광주 늘봄지원연구사,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2025 늘봄지원연구사 중간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광주시교육청, 늘봄지원연구사 중간성과보고회 개최늘봄지원연구사는 늘봄학교 전담 조직인 늘봄지원실의 총책임자로, 기획·연구·조정 업무를 총괄하고 관
  5. 한국가스공사, 창립 42주년 기념식 개최 한국가스공사(사장 최연혜)는 8월 14일 대구 본사에서 창립 42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국가스공사(사장 최연혜)는 8월 14일 대구 본사에서 창립 42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이 자리에는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을 포함한 주요 경영진과 본사 전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사내 밴드 축하 공연 ▲유공자 포상 및 CEO 기념사...
  6. 미추홀구, 초등학생 대상 `제6회 레이저사격 체험 교실` 성황리에 마무리 인천 미추홀구(구청장 이영훈)는 지난 4일부터 5일간 구청 대회의실에서 관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제6회 레이저사격 체험 교실`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미추홀구, 초등학생 대상 `제6회 레이저사격 체험 교실` 성황리에 마무리이번 체험 교실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특히 미추홀구청 사
  7. 1·2차 추경 집행 ‘속도전’… 7월까지 1차 74%, 2차 한 달 만에 53.4% 정부가 2025년 1·2차 추가경정예산 집행에서 ‘속도전’에 나섰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차 추경은 7월 말 기준 74%가 집행돼 목표치를 4%p 초과 달성했으며, 2차 추경도 의결 한 달 만에 절반 이상이 집행됐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차관이 8월 8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시장상황점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TOP TODAY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