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그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납 쾌삭강을 대체 할 수 친환경 ‘흑연 쾌삭강’의 양산제품 개발에 성공하고 판매확대에 본격 나섰다고 13일 밝혔다.
쾌삭강이란 단면이 원형이며 가늘고 긴 철강재인 선재 제품의 하나다. 절삭면이 깨끗하고 빠르게 잘리는 강이다.
주로 복잡한 형상이나 치수 정밀도가 중요한 자동차, 전기·전자 및 사무자동화 기기의 정밀 부품 제작에 사용된다.
포스코는 "이번에 개발한 흑연 쾌삭강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납 쾌삭강을 대체 할 수 있어 국가 산업 경쟁력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포스코가 개발한 '흑연 쾌삭강'을 정밀 가공해 제작한 기계 부품. (사진=포스코)
특히 기존 쾌삭강에는 절삭성 향상을 위해 납을 첨가했는데, 납은 제품의 생산, 가공, 재활용 처리 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 입자로 공기 중에 퍼져나가 작업자에게 염증이나 신경계 손상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U의 ‘유해물질 사용제한(RoHS)’ 지침 등에서는 제품 내 납 함유량을 최대 0.1%로 규정하고 있는데, 대체 소재가 없는 납 쾌삭강만은 별도의 예외 규정을 두고 최대 0.35%까지 허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납이 함유된 부품 사용을 금지하는 추세가 확대되고 있으며, 납 사용을 규제하는 지침 역시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의 이번 흑연 쾌삭강 개발은 친환경 소재인 흑연을 활용해 납 쾌삭강 이상의 우수한 절삭성을 확보한 데에 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