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자본이 부족해 차입금을 내 사업을 하면서 사업수익으로 금융비용, 즉 이자도 부담하지 못하는 기업들이 국내 기업 전체의 35%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기업 3곳 중 1곳이 애써 사업을 영위하고 있지만 버는 것으론 금융권에서 빌린 자금의 이자 내기도 버겁다는 얘기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8년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이 전체 35.2%에 달했다.
이자보상비율은 기업이 영업으로 번 돈, 즉 영업이익과 이자비용을 비교해 보여주는 지표다.
이 지표가 2016년 31.8%에서 2017년 32.3%를 거쳐 지난해엔 35.2%로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작년 기준으로 아예 이자보상비율이 0% 미만으로 적자를 보는 업체 비중은 29.5%였다. 그 비중도 2016년 27.0%에서 2017년 27.6%, 지난해 29.5%로 늘었다.
기업하기가 갈수록 힘든 세상이 돼 가고 있다. 돈 벌기 위해 사업을 벌였지만 우리 기업의 3분의1이 이자도 못내는 ‘쭉정이’ 기업이 돼버린 셈이다.
이자보상비율이 300% 이상인 업체 비중도 2016년, 2017년 43.4%에서 지난해 39.7%까지 떨어졌다.
그 결과, 전체 산업 이자보상비율은 470.9%로 집계됐다. 2016년(442.1%)보다는 향상됐지만 2017년(537.4%)보다는 크게 악화됐다.
지난해 수출 부진으로 기업들의 성장성도 둔화됐다. 지난해 전체 조사대상 기업 매출액 증가율은 4.0%로 지난해 대비 5.2%포인트 떨어졌다.
특히 제조업 매출액 증가율 9.0%에서 4.0%로 감소했다. 수출 증가 폭이 축소되고 발전플랜트 수주와 디스플레이업체 투자가 모두 줄면서 전자·영상·통신장비(20.4%→3.4%), 기타 기계·장비(15.4%→-0.1%)가 하락한 여파가 미쳤다.
한은 관계자는 “작년 3분기 말부터 전자·영상·통신장비의 수출 부진이 나타난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