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릉 27.3℃구름조금
기상청 제공

2025.09.15 (월)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무역수지 49억 달러 흑자 기록…반도체 수출 호조, 승용차는 감소
중국 수출 반등, 미국은 감소 전환…수입은 전반적 둔화세 지속
원유 수입단가 12.7% 하락…자본재 수입 증가세 뚜렷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4월 수출입 확정치’에 따르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7% 증가한 582억 달러를 기록하며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월별 수출액 및 증감률
▲ 월별 수출액 및 증감률

 

반면 수입은 2.7% 감소한 533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49억 달러 흑자를 나타내며 3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수출은 반도체(16.9%)·자동차 부품(5.4%)·선박(15.6%)·무선통신기기(6.3%) 등의 증가가 견인했고, 승용차(△4.1%)·석유제품(△13.8%)은 감소했다.

 

수출 대상국별로는 중국(3.9%)·유럽연합(18.4%)·베트남(6.3%)·대만(58.2%)·중동(1.7%)은 증가한 반면, 미국(△6.8%)·일본(△5.3%)·호주(△7.6%)는 감소했다. 특히 중국은 4개월 만에 반등했고, 미국은 증가세에서 감소 전환됐다.

 

월별 수입액 및 증감률 추이
▲ 월별 수입액 및 증감률 추이

 

수입은 기계류(7.9%)·석유제품(0.7%)·조제식품(2.9%) 등이 증가했으며, 원유(△19.9%)·메모리 반도체(△8.7%)·승용차(△2.8%) 등은 줄었다. 소비재 수입은 소폭 감소(△2.1%)했고, 자본재는 8.7% 증가하며 제조용 장비(31.7%)와 정밀기기(8.6%) 등의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입은 중국(0.6%)·미국(2.2%)·일본(8.4%)·베트남(10.9%)·대만(0.9%)은 증가했고, 중동(△26.1%)·유럽연합(△5.2%)·호주(△6.8%)는 감소했다. 특히 원유 수입단가는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12.7% 하락해, 전체 원자재 수입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