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1조원 투입하고 첫삽 못뜬 공공임대...놀리고 있는 땅만 축구장 59개 크기
  • 홍진우
  • 등록 2022-09-30 12:29:37

기사수정
  • 장철민 의원 “물량 확대 광고만 치중, 기회비용 고려한 사업 추진 필요”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270만 호 신규공급에 앞서, 이미 착수 중인 기존 물량이나 빨리 소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LH가 약 1조 원을 투입해 사업승인까지 완료해놓고도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있는 공공임대주택만 5만8,895단지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

30일(금)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이 LH로부터 제출받은 ‘공공임대주택 장기 미착공 물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부터 2022년 8월까지 사업승인한 공공임대주택 22만513단지 中 미착공된 물량은 5만8,895단지로 전체 26.7%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공공임대주택 사업승인 미착공물량을 보면, 2017년 5만 5,705단지 中 3,142단지로 비율은 6% 수준에서 2018년 5만 2,156단지 中 8,870단지(17%), 2019년 4만 7,169단지 中 1만116단지(21%), 2020년 3만 9,334단지 中 1만7,945단지(46%), 2021년 2만 4,436단지 中 1만7,782단지(73%), 2022년(8월 기준) 1,713단지 中 1,040단지(61%)로 사업승인 물량은 줄고 있음에도 착공 못하는 물량 규모는 해마다 크게 증가하고 있었다.

 

경과 기간별 미착공물량을 보면 사업승인 이후 1년이 지난 물량이 1만8,822단지, 1~3년 2만8,061단지, 3~5년 1만2,012단지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매년 공공임대주택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LH에 사업단계에 따라 토지보상, 용지조성 등의 사업비(융자·보조금 등)를 지원하고 있다. 현재까지 미착공된 물량에 투입된 토지보상, 용지조성 등 사업비만 9,630억 원에 달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착공물량 중 이미 토지매입까지 마친 물량도 있었다. 토지매입까지 마친 단지는 2만3,734단지로 전체 미착공 58,895단지의 40.3%에 달했다. 주요 미착공단지를 보면, 토지매입 등 137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 400호 규모의 울산OO 영구임대주택이 2017년 사업승인 후 5년 가까이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있다.

 

가장 오랫동안 미착공되고 있는 상위 50개 단지를 보면, 이미 토지매입까지 마친 33개 단지의 토지면적은 420,424제곱미터로 축구장 면적(7,140제곱미터)의 59배 수준이다. 특히 대지면적에 대한 토지매입비를 1.8% 수준의 금리를 대입할 경우, 연간 약 161억 원의 이자비용이 발생할 걸로 추산된다.

 

윤석열 정부가 5년 내 270만 호를 공급한다며 공공택지 88만 호를 약속했지만, 이미 미착공되고 있는 물량만 약 6만 호에 달하고 있다. 게다가 국토교통부는 미착공 물량에 대한 사업계획 변경과 승인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도 없이 과도한 물량 확대에만 매달리면서 결과적으로 270만 호 공급은 공염불에 그칠 것이라는 게 장 의원의 지적이다.

 

LH에서는 재고량 확보를 위해 지구계획과 주택 사업승인을 동시에 추진하면서 물량을 확보했고 이로 인해 보상, 조성 등의 문제로 실제 착공이 늦어지고 있다는 입장이다.

 

장철민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물량 확대 광고만 치중해 미착공 공공임대 물량 활용은 손 놓고 있다”고 지적하며 “미착공 물량의 기회비용과 사업성, 현장여건을 고려해 신속한 입주 필요한 서민들의 주거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유니세프
하단배너_06 코리아넷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대전교육청,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제 운영 내실화 앞장 대전광역시교육청은 5월 31일 IBS(기초과학문화센터)에서 동‧서부교육지원청 학교폭력 제로센터 전담조사관 48명을 대상으로 2024학년도 상반기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역량 강화 연수를 운영했다고 밝혔다. 대전교육청,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제 운영 내실화 앞장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는 교원이 교육의 본질인 수업과 생활지도에 집중
  2. 최중증 발달장애인 24시간 돌봄 운영 충남도는 31일 도청에서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24시간 개별 1:1 지원사업’ 서비스 제공기관 공모로 선정한 법인 2곳과 협약을 체결했다.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제공기관 협약 최중증 발달장애인은 자해나 타해 등 도전적 행동을 수반하는 장애 정도가 극심한 발달장애인으로, 기존 복지서비스를 이용하...
  3. 대전교육청, 대전형 첨단교실을 몽골에 구축하다 대전광역시교육청은 대전의 교육특색을 반영한 첨단 ICT활용 시범교실(첨단교실)을 교류협력국인 몽골에 구축하고 개소식을 가졌다고 31일 밝혔다. 대전교육청, 대전형 첨단교실을 몽골에 구축하다!첨단교실 구축은 교육부와 APEC국제교육협력원의 지원사업으로 2022년 대전광역시교육청이 선정되어 2년간의 타당성조사와 실시협의를 통
  4. 자살 유족 심리·정서적 회복 돕는다 충남도는 31일 한국문화연수원에서 자살 유족의 건강한 애도와 일상생활 회복을 돕기 위한 ‘자살 유족 힐링캠프’를 개최했다. 자살유족 힐링캠프(손 운동)이번 힐링캠프는 도내 자살 유족 및 자살 예방 사업 실무자 70여 명을 대상으로 △압화액자 만들기 △통나무 명상 해독체조 △싱잉볼체험 등 총 3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nbs...
  5. 대전교육청 위(Wee)센터, ‘찾아가는 오픈데이’ 개최 대전광역시교육청 위(Wee)센터는 5월 31일 대전노은고등학교에서 또래상담 동아리 학생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대전교육청 위(Wee)센터, `찾아가는 오픈데이` 개최위 센터 오픈데이’는 집단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상담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또래상담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위(Wee)센터 운영
  6. 서초 카페, 정류장, 분전함 장식하는 청년예술인 한데 모인다 서울 서초구는 지난 30일 서초의 카페, 정류장, 분전함 등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청년 예술인이 모이는 `청년갤러리 토크 콘서트`를 개최했다. 서울 서초구는 지난 30일 서초의 카페, 정류장, 분전함 등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청년 예술인이 모이는 `청년갤러리 토크 콘서트`를 개최했다.이번 콘서트는 그간 서초구가 추진해 온 `청년갤러...
  7. 상상이 현실이 되는 바다 ‘제14회 화성 뱃놀이 축제’ 개막 화성시와 화성시문화재단(대표이사 김신아)이 주최·주관하는 ‘제14회 화성 뱃놀이 축제’가 ‘상상의 바다, 희망 화성’이란 주제로 5월 31일부터 6월 2일까지 화성시 전곡항에서 펼쳐진다. 상상이 현실이 되는 바다 화성 뱃놀이 축제2024-2025 문화관광축제에 선정돼 처음 선보이는 제14회 화성 뱃놀이 축제에서는 다양한 ...
TOP TODAY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