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 7억 137만톤…전년 대비 3.5% 감소
  • 김은미
  • 등록 2021-12-31 09:51:35

기사수정
  • 발전·열생산부문 1961만톤 7.3% 감소 및 가정 219만톤 6.5% 감소 등
  •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 13.6톤, 전년 14.1톤 대비 3.7% 감소

2019년 기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 대비 3.5% 감소한 7억 137만톤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 (자료=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 심의를 통해 이같이 확정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 배출량 감소에 가장 크게 기여한 부문은 발전·열생산으로 1961만톤 7.3%가 감소했으며, 오존층파괴물질 대체물질 사용부문 250만톤 28.3%, 가정 219만톤 6.5%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도로수송은 전년보다 275만톤 2.9% 증가했으며, 비금속 부문도 113만톤 10.2% 배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분야의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87.2%에 해당하는 6억 1150만톤으로, 전년보다 2107만톤 3.3% 감소했다.

이 가운데 발전‧열생산 부문은 전력수요 감소에 따른 발전량 감소와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석탄화력 발전량 감소 등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2018년보다 7.3% 줄었다.

 

수송 부문은 국제 유가 및 국내 유류 판매가의 하락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8년보다 2.9% 증가했다. 가정·상업‧공공 등에서는 난방용 연료 소비가 줄어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8년보다 311만톤 5.6% 감소했다.

 

또한, 산업공정 분야 2019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7.4%에 해당하는 5199만톤으로 전년 대비 6.8% 줄어들었다. 농업 분야의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3.0%에 해당하는 2096만톤으로 전년보다 0.8% 감소했다.

 

국제기준에 따른 국가 배출량을 경제산업 부문별로 재분류할 경우 산업부문 55.7%, 건물부문 21.0%, 수송부문 14.6%, 공공기타 2.7%, 폐기물 2.4%, 농축산 3.0%, 탈루로 인한 배출이 0.6%를 차지했다.

 

부문별 전년 대비 증감량을 살펴보면, ▲수송 부문은 277만톤 2.8% 증가한 반면, ▲산업 1463만톤 3.6%, 건물 1105만톤 7.0%, 공공기타 158만톤 7.6%, 폐기물 63만톤 3.6%, 농축산 17만톤 0.8%, 탈루 및 기타 38만톤 7.8%가 줄어들었다.

 

아울러, 국내 6대 온실가스별 비중은 이산화탄소(CO2)가 91.8%로 가장 높으며, 메탄(CH4) 3.9%, 아산화질소(N2O) 2%, 수소불화탄소(HFCs) 1%, 육불화황(SF6) 0.8%, 과불화탄소(PFCs) 0.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의 경우 93.6%가 연료연소에서 발생하며, 2018년 대비 3.2% 감소했다.

 

국가의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 총생산액(GDP) 및 인구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살펴보면 `국내 총생산액(GDP) 10억원 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379톤으로 2018년 401톤에 비해 5.6% 개선됐다.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13.6톤으로 2018년 14.1톤에 비해 3.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배출량을 살펴보면 전국 17개 시도 중 충청남도가 1억 5475만톤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전라남도 9100만톤, 경기도 8511만톤, 경상남도 5918만톤, 경상북도 5805만톤 등의 순서로 배출량이 많았다.

 

그러나 실제 전력 소비량 기준으로 산출하는 간접배출량은 경기도가 6310만톤으로 가장 컸으며, 충청남도 2587만톤, 서울 2136만톤, 경상북도 2090만톤, 경상남도 1607만톤의 순서로 집계됐다.

 

한편,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이번 2019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난 6월 공개한 2019년 잠정치 6억 9951만톤보다 0.3% 높게 산정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2019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상세자료는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정보마당에서 확인할 수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유니세프
하단배너_06 코리아넷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2026여수세계섬박람회’ 성공 개최 위해 행안부, 전남도, 여수시 한자리에 오는 2026년 9월, 여수에서 세계 최초로 섬을 주제로 한 국제박람회가 열린다. 11일 오후 전남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6 세계섬박람회 결의대회에서 이상민(왼쪽 세번째) 행정안전부 장관, 김영록(왼쪽 네번째) 전라남도지사 등 관계자들이 성공개최 퍼포먼스(핸드프린팅)를 하고 있다. 2026여수세계섬박람회(이하 : 섬박람회)는
  2. 여주시, 뱀장어 치어 남한강에 방류 여주시는 남한강 생태계를 보호하고 내수면 어족자원 증식 및 동양하루살이의 자연방제를 위해 전년 대비 84,000천원을 증액한 210,000천원의 예산을 확보하여 우리나라 토산 어종인 뱀장어, 쏘가리 등 수산종묘 4종을 어종별 방류시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3,275천마리를 방류할 계획이다. 여주시 뱀장어 치어 남한강에 방류 이의 일환으로 지...
  3. 성남시, 분당신도시 선도지구 평가기준 마련에 박차 성남시(시장 신상진)가 오는 6월 25일 분당신도시 선도지구 공모를 앞두고 세부 공모지침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성남시는 지난달 27일 `분당신도시 선도지구 민관합동 TF 추진단` 첫 회의를 개최한 데 이어 10일 시청 제2회의실에서 두번째 TF 추진단 회의를 열었다. 시는 지난달 27일 `분당신도시 선도지구 민관합동 TF 추진단` 첫 회의...
  4. 선유도공원에서 요가와 클래식으로 여름의 낭만을 즐겨보세요 초여름으로 접어든 6월의 선유도, 공원의 아름다움을 클래식 음악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예술품은 매력정원-음악이 흐르는 정원 6월편’과 함께하면 어떨까. 행사 사진(음악이 흐르는 정원)공간마다 특색있어 방문객들이 다양하게 휴식하기 좋은 선유도공원은, 대한민국 1호 여성조경가 정영선의 손길이 닿아있는 곳이다. 한강에 ...
  5. 박승원 광명시장, `어르신이 행복한 어르신 정책` 강의 박승원 광명시장은 지난 10일 광명시 노인회관에서 대한노인회 광명시지회 부설 노인대학 일일 특강자로 초청돼 `어르신이 행복한 광명시 어르신 정책`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지난 10일 광명시 노인회관에서 대한노인회 광명시지회 부설 노인대학 일일 특강자로 초청돼 `어르신이 행복한 광명시 어르신 정책`
  6. 백제의 토목기술, 익산 미륵사 중원 금당지 축조 공정 확인 익산 미륵사지(사적) 내 중원 금당지에서 백제인의 토목기술을 엿볼 수 있는 기단 축조 공정과 변화 양상이 확인됐다.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오는 12일 오전 10시, 오후 3시 두 차례 현장 공개설명회를 통해 미륵사지 내 중원 금당지 발굴조사 성과를 공개한다.11일 익산시에 따르면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오는 12일 오전 10시, 오
  7. 성북구, 공인중개사 특별교육으로 전세사기 피해예방 총력 서울 성북구가 지역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특별 연수 교육을 실시했다. 서울 성북구가 지역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특별 연수 교육을 진행했다. 교육에 앞서 이승로 성북구청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지난 11일 구청 다목적홀에서 진행한 교육에는 성북·돈암동 등 7개 동 소재 개업(소속)공인중개사 200명이 참여했다. 
TOP TODAY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