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스마트 그린도시, 물 재이용 등 환경문제에 대한 정부와 민간의 국제표준개발 협력체계 강화를 위해 연간 10억원 규모의 `환경분야 표준대응체계 기반 구축 및 국제표준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문제에 대한 정부와 민간의 국제표준개발 협력체계 강화를 목적으로 `환경분야 표준대응체계 기반 구축 및 국제표준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16년 도입된 범부처 참여형 국가표준 운영체계에 따라 환경분야의 표준대응체계 기반 구축을 총괄하고 있으며, 이번 사업은 국제환경표준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내기술기반의 국제표준개발, ▲표준 민간전문가 양성, ▲이해관계자 및 유관기관 협력 등 국제표준화 활동 지원강화에 초점을 두고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 기술기반의 국제표준개발`을 통해 총 45개월간 물재이용을 위한 염소소독공정 성능시험방법, 스마트 그린도시 핵심성과지표 등 7건의 환경분야 신규 표준(안)을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하고, 프로젝트 리더 수임 등 적극적인 개발 참여를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표준 민간전문가 양성`은 표준개발자를 대상으로 국제표준문서 작성, 표준개발 단계별 컨설팅, 국제회의 참가 지원, 국제 환경표준 전문가 교육 기회 제공 등 역량 강화에 집중한다.
아울러 `이해관계자 및 유관기관 협력`을 위해 `환경표준개발자 협의체`를 구성해 국제표준 개발 정보를 공유하고, 성과 확산을 위해 환경표준 웹진을 발행하게 된다.
신선경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기반연구부장은 "국제표준화기구(ISO)의 표준 1건을 개발하는 데 평균 4년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 주도의 표준개발을 뒷받침하기 위해 연속성 있는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환경분야 표준전문성을 강화하고 체계적으로 환경표준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